🧭 포트포워딩이란?
외부 인터넷에서 집 안에 있는 특정 장치(예: NAS, CCTV, 게임 서버 등)에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를 열어주는 작업입니다. 예를 들어 외부에서 집에 있는 NAS에 접속하려면 80번 포트 등을 개방해야 합니다.
🛠 준비사항
- 공유기 관리자 계정 정보 (보통 라우터 뒷면에 있음)
- 포트포워딩할 장치의 내부 IP 주소 (예: 192.168.0.10)
- 열고자 하는 포트 번호 (예: 8080, 80, 22 등)
📌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
1. 내부 IP 주소 확인
윈도우 기준:
bash
복사편집
Win + R → cmd → ipconfig 입력
IPv4 주소가 내부 IP 주소입니다.
예시:
2.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
브라우저에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입력 (예: 192.168.0.1 또는 192.168.1.1)
예시:
로그인 후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. 제조사마다 UI는 다르지만 대부분 “고급 설정” 또는 “포트포워딩” 메뉴가 있습니다.
3. 포트포워딩 메뉴 찾기
일반적인 위치:
- 고급 설정 → NAT/라우팅 → 포트포워딩
- 또는 고급 기능 → 보안 → 포트포워딩
예시 (TP-Link 공유기 기준):
4. 포트포워딩 규칙 추가
예시 설정:
- 서비스 이름: web_server
- 내부 IP 주소: 192.168.0.10
- 내부 포트: 80
- 외부 포트: 8080
- 프로토콜: TCP
이 설정은 외부에서 http://공인IP:8080으로 접속하면 내부 IP 192.168.0.10의 80번 포트로 연결됩니다.
5. 적용 후 테스트
외부 네트워크(모바일 데이터 등)에서 공인 IP 주소에 포트 번호를 붙여 접속 테스트합니다.
예:
cpp
복사편집
http://123.45.67.89:8080
(공인 IP 주소는 whatismyipaddress.com 등에서 확인 가능)
⚠️ 주의사항
- ISP가 CGNAT(사설 IP 할당)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서 접속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- 방화벽이 포트를 차단하고 있을 수 있으니 장치에서도 포트 허용 설정을 확인하세요.
- 외부 접속 시 보안을 위해 비밀번호 또는 VPN 설정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
'윈도우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바탕화면에 숨김 폴더 만들기 — 초간단 가이드 (0) | 2025.04.23 |
---|---|
Pi Network 노드 설치 방법 (2025년 최신 가이드) (0) | 2025.04.23 |
윈도우11 단축키 모음 (0) | 2025.04.18 |